본문 바로가기
[JSP] EL : Expression Language EL : Expression Language 스크립트 요소의 사용없이 JSP 페이지에 값을 표현할 수 있는 태그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이다. 표현 언어는 JSP의 스크립트 요소(스크립트 릿, 표현식, 선언부)를 제외한 나머지에 사용될 수 있다. 기능 JSP의 네가지 기본 객체가 제공하는 영역의 속성을 사용한다. page, request, session, application에 binding된 attribute나 attribute의 프로퍼티 값을 출력한다. 수치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등의 EL연산자 제공 자바 클래스의 메소드 호출 기능도 제공한다. EL 의 내장객체를 제공한다. 표현 형식 ${ expression } 자주쓰이는 EL 내장 객체 EL 내장객체 타입 설명 param Map requ.. Web/JSP&SERVLET 2020. 10. 26.
[GIT&GITHUB] GITHUB 사용법(1) 진행하기 전에 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 OS X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e are several third-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a platform-specific git-scm.com 에서 본인 pc에 맞는 git bash을 설치 받아야한다. 원격저장소 만들기 1) 먼저 GITHUB 를 사용하려면 계정을 생성하고 Repositorie.. 기타/GIT&GITHUB 2020. 10. 25.
[GIT&GITHUB] GIT&GITHUB 이란? git과 github. 컴퓨터공학과 학생이거나 개발자과정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들어봤을법한 단어이다. 나같은 경우에는 git과 github가 피상적으로 구글드라이브와 같은 저장공간으로만 사용되는 걸로 인지하고 있었는데 실제 사용을 해보니 그와는 거리가 있음을 깨달았다. 그렇다면 git과 github는 무엇일까? 알아보기전 git이 왜 쓰이는지에 대해서 이해하면 도움이 된다. 먼저 git이란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도구이다. 이는 형상관리(SCM : Software Configuration Managament) 라고도 부른다. 소프트웨어의 개발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활동을 일컫는다. 쉽게 말해 개발자들이 개발을 함에 있어서 개발 코드를 공유하고 수정하기 용이하게 .. 기타/GIT&GITHUB 2020. 10. 25.
[JAVASCRIPT] 함수 생성 함수 리터럴 자바스크립트에선 함수도 일반 객체처럼 값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함수 리터럴을 이용해 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 function add(x,y) { return x+y; } 에서 function 키워드 + 함수명 + 매개변수 리스트(타입 기술x) + 함수 몸체 으로 구성된다. 함수 선언문 방식으로 함수 생성 함수 리터럴 형태와 같지만 주의할 점은 함수 선언문 방식으로 정의된 함수의 경우 반드시 함수명이 정의되어 있어야한다. 1 2 3 4 5 6 7 //함수 선언문 방식으로 생성 function add(x,y) { return x+y; } //호출시 함수명으로 함수 호출 console.log(add(3,5));//8 cs 함수 표현식 방식으로 함수 생성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도 하나의 값처럼 취급때.. Language/JAVASCRIPT 2020. 10. 25.
[JAVASCRIPT] 연산자 typeof 연산자 typeof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타입을 반환한다. null과 배열은 object 타입 함수는 function 타입이 반환된다. ==(동등 연산자) ===(일치 연산자)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두 값이 동일한지 확인하는데 두 연산자를 사용한다. 두연산자의 특징으로는 ==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타입이 다를경우 타입 변환을 거친 이후에 값을 비교한다.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타입이 다를 경우 이를 변경하지 않고 값을 비교한다. 1 2 console.log(1 == '1'); // true console.log(1 === '1'); // false cs !! 연산자 !!연산자의 역할은 피연산자를 불린값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객체는 빈 객체더라도 true로 반환된다. 1 2 3 4 5 6 7 8 9.. Language/JAVASCRIPT 2020.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