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증감연산자 오늘 배운 내용은 증감 연산자 (Increment/Decrement Operators) 증감 연산자는 변수의 값을 1씩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변화된 값을 다시 변수에 저장시켜주는 연산자 하나의 피 연산자를 취하는 단항 연산자이기도 함 증감 연산자는 크게 전위 형과 후위 형으로 나뉜다. 1) 전위 형 prefix (++a) 영어에서도 볼 수 있듯이 먼저 변수값이 변하는 연산자다. 순서는 변수 x값이 먼저 1이 증가하고 변수 y에 대입한다. y = ++x; x=x+1; y=x; 2)후위 형 postfix (a++) 전위형과는 반대로 x값을 y에 대입 후 x값에 1을 증가시키는 연산자다. 즉 선대입 후 연산이라고 할 수 있다. y = x++; y=x; x=x+1; 1 2 3 4 5 6 7 8 9 10 11.. Language/JAVA 2020. 7. 22.
[TIL]이항 연산자 오늘 배운 내용은 연산자 Operator 연산자는 변수나 상수에 미리 약속된 연산을 행하기 위해 사용됨 연산자 = 식에서 수행할 연산을 지정하는 기호 피연산자 = 연산자의 연산 대상(변수, 리터널, 수식 등) 특징 연산 식에 괄호가 사용된 경우 괄호 먼저 처리 * / % 가 +- 보다 먼저 연산됨 기본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연산이 진행됨 연산이 진행 시 기본적으로 int형 타입이 설정 됨 기본적으로 int형보다 작은 타입형의 경우 int형으로 변환 되어 결과값이 나오고 int보다큰 long/float/double의 경우 결과값도 그에 해당하는 타입으로 변환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Language/JAVA 2020. 7. 22.
[TIL] print() 과 println() 메소드 오늘 배운 내용은 print() 메소드와 println() 메소드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두 메서드의 공통점은 괄호()안의 값을 출력한다는 점이고 차이점은 출력후 라인을 넘기는지 여부이다. print()는 출력후 라인 넘기지 않고 println()은 출력후 라인을 넘긴다. 다른 출력 메소드와는 다르게 println()은 공백 값으로도 메서드 호출이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package ex0720; public class Test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main이 없으면 실행 x JVM이 MAIN함수 먼저 찾음 // System.out.printl.. Language/JAVA 2020.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