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GITHUB] GITHUB 사용법(1)

인포꿀팁 발행일 : 2020-10-25

진행하기 전에 

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 OS X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e are several third-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a platform-specific

git-scm.com

에서 본인  pc에 맞는 git bash을 설치 받아야한다.

 

원격저장소 만들기

1)

먼저 GITHUB 를 사용하려면 계정을 생성하고 Repositories를 만들어줘야한다.

2)

Repository name을 생성하고 몇가지 옵션을 선택후 create를 한다.

3) 

생성을 하고 나면 하단 초록버튼을 클릭해 https 주소를 복사한다.

 

지역 저장소 설정하기

1)

먼저 지역저장소가 될 폴더를 정한다. 나는 바탕화면에 gitfile2 이라는 파일을 만들어서 진행했다.

2)

폴더를 생성했다면 cmd 명령 프롬포트를 실행한다.

실행후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olbal user.email "이메일"

으로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을 등록해야한다.

등록이 되었다면 cmd에서 디렉토리 경로를 변경해줘야한다. 경로는 본인이 지정한 폴더위치로 설정하면된다.

명령어는 cd 파일주소 를 입력하면된다.

들엉 

 

3) 

지역 저장소를 생성했으니 할수 있는 작업은 원격저장소에 있는 내용을 불러오거나 내가 작성한 내용을 보내는 작업이 있다. 먼저 앞서 깃허브에 만들었던 repository의 내용을 불러오는데 방법은  clone 명령어를 통해 통째로 내 지역저장소에 저장시키는 방법이다.

git clone repository주소 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 출력된다.

그러면 이렇게 remote-test 가 통째로 지정한 파일안에 복사가 된다. 

원래는 안에 .git이라는 폴더가 있는데 이는 자동으로 숨김처리가 되어 있어서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4)

내가 만든 소스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려 한다면 

먼저 add 명령어를 통해 변경/추가된 소스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이라는 곳에 추가해야한다.

gitFile2/remote-test 안에 예시로 test1.txt를 만들었다.

명령어는 먼저

cd로 remote-test파일로 디렉터리 경로를 변경후에

git add .    혹은 git add test1.txt(파일명)  를 입력한다. (add . 뒤에 점은 추가된 전체내용을 입력한다는 의미)

그리고 git commit 를 입력한다. commit을 하게되면 지역저장소에 파일이 저장된다. -m으로 메세지 부여를 할 수 있다.

위에 수정 : test.txt 파일이 아니고 test1.txt로 만들었습니다.

 

5)

이제 마지막으로 

git push 를 입력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해당 파일이 원격저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아래와 같이 깃허브에 잘 추가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요약하자면...

 

지역저장소 -> 원격저장소

add -> commit -> push

 

원격저장소 -> 지역저장소

fetch -> merge   / pull(둘다 한번에 수행) //clone은 처음에 통채로 다운로드시 사용

'기타 >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과 이클립스 연동후 commit/push/pull 하기  (0) 2020.11.04
git 과 이클립스 연동하기  (0) 2020.11.04
[GIT&GITHUB] GIT&GITHUB 이란?  (0) 2020.10.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