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oss] Deployment 배포
스탠드얼론 모드에서는 관리도구를 사용하여 배포한다. 간편한 배포 방법으로는 배포 스캐너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스탠드얼론 모드의 특징이다.
스탠드얼론 모드에서 배포 상태는 다음 그림과 같다.
- STOPPED
-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배포되어 있지만 사용하지 않는 상태
- OK
-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배포되어 사용하고 있는 상태
[standalone@localhost:9999 /] deployment-info --name=example.war
NAME RUNTIME-NAME PERSISTENT ENABLED STATUS
example.war example.war true true OK
배포 방식 비교
JBoss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방법은 Managed 방식과 Unmanaged 방식이 있다. 또, Archive 방식과 Exploded방식이 있다. 두 가지 방식이 혼동될 텐데, 이 배포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자.
먼저 Archive 방식과 Exploded 방식의 차이점은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구성 방법에 있다. Archive 방식은 압축된 파일을 사용하는 배포방법이며, Exploded 방식은 애플리케이션의 압축을 풀어놓은 디렉터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Archive | 압축된 파일을 배포하는 방법 |
Exploded | 압축을 푼 디렉터리를 배포하는 방법 |
JBoss EAP 내부적으로 배포할 파일을 관리하는지 여부에 따라 Managed, Unmanaged 방식으로 구분한다. 관리 콘솔의 Deployments에서 파일을 업로드 하여 배포하거나, CLI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배포할 경우 내부적으로 data 디렉터리에 파일을 보관하여 배포한다. 이렇게 JBoss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경우를 Managed 방식이라고 한다. 도메인 모드에서도 콘솔이나 CLI에서 Managed 방식으로 배포하면 다른 머신에 있더라도 호스트 컨트롤러에 애플리케이션을 JBoss가 내부적으로 복사하고 배포한다.
반대로 Unmanaged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여러 머신을 사용하는 도메인 모드에서 Unmanaged 방식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각각의 머신에 애플리케이션 파일 복사해야 한다.
Managed 방식으로 배포하려면 Archive 방식으로 배포해야만 한다.
Managed |
JBoss가 애플리케이션 배포 파일을 관리
Archive 방법만 사용할 수 있음
|
Unmanaged |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배포 파일을 관리 |
[standalone@localhost:9999 /] deploy /EAP6book/download/example.war
[standalone@localhost:9999 /] deploy -l
NAME RUNTIME-NAME ENABLED STATUS
example.war example.war true OK
아래 파일은 스탠드얼론 방식의 xml 셈플 파일이니 확인 바랍니다.
standalone.xml 수정을 통해 배포하는 방법
<deployments>
<deployment name="test.war" runtime-name="test.war">
<fs-archive path="배포파일 경로"/>
</deployment>
</deployments>
<deployments>
<deployment name="test.war" runtime-name="test.war">
<fs-exploded path="배포파일 경로"/>
</deployment>
</deployments>
'Infra > JBo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boss] jboss logging 관련 설정 (0) | 2022.02.10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