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배열 (Array) 다루기
배열
-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배열 선언과 생성
배열의 선언 -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의 선언
- 타입[] 변수이름; => java에서 선호하는 방식
- 선언시 참조변수값과 저장공간이 생성됨.
- score[index] 로 각 저장공간에 접근 및 변경이 가능하다.
int[] score =new int[5];
2. 타입 변수이름[]; .Int score[];
타입[] 변수이름; // 참조변수 선언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실제 저장공간을 생성
package com.example.Arrays;
public class Array_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1. 배열 score를 선언(참조변수)
//score = new int[5]; // 2. 배열의 생성(int 저장공간 x 5)
int[] score = new int[5]; // 배열 선언과 생성 동시에 실행
score[3]=100; // 저장공간(요소)에 값 입력
System.out.println("score[0] = "+ score[0]);
System.out.println("score[1] = "+ score[1]);
System.out.println("score[2] = "+ score[2]);
System.out.println("score[3] = "+ score[3]);
System.out.println("score[4] = "+ score[4]);
/*
score[0] = 0
score[1] = 0
score[2] = 0
score[3] = 100
score[4] = 0
*/
int value = score[3];
System.out.println(value); //100
}
}
배열의 인덱스
각 요소(저장공간)에 붙는 일련 번호
배열의 길이
배열은 한번 생성하면 그 길이를 바꿀 수 없다.
배열이름.length - 배열의 길이 (int형 상수)
int[] arr = new int[5]; // 길이가 5인 int 배열
Int tmp = arr.length; // arr.length 값은 5이고 tmp에 5가 저장
package com.example.Arrays;
/**
* 배열의 길이
*/
public class Array_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new int[5];
System.out.println("arr.length = " + arr.length); // 5
for(int i=0;i<arr.length;i++){
System.out.println("arr[" + i+ "] = "+ arr[i]);
/**
arr[0] = 0
arr[1] = 0
arr[2] = 0
arr[3] = 0
arr[4] = 0
*/
}
}
}
배열의 초기화
배열의 각 요소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 int[] score = new int[]{1,2,3,4,5};
- int[] score = {1,2,3,4,5}; // 보통 이 방식을 사용함
배열의 출력
int[] iArr = {1,2,3,4,5};
println(iArr) => 참조변수 주소값이 출력됨
package com.example.Arrays;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Array_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Arr = {1,2,3,4,5};
for(int i=0;i<iArr.length;i++){
System.out.println(iArr[i]);
}
//[1, 2, 3, 4, 5]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iArr));
}
}
String 배열의 선언과 생성
String[] name = new String[3];
- 배열의 기본 값은 null
package com.example.Arrays;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Array_String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Arr = {"가위","바위","보"};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strArr));
for(int i=0;i<10;i++){
// random() => 0~0.9 까지의 난수 생성
int tmp = (int)(Math.random()*3);
System.out.println(strArr[tmp]);
}
}
}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this() vs this 차이점 (0) | 2022.03.15 |
---|---|
[JAVA] 생성자 특징 (기본 생성자) (0) | 2022.03.15 |
[JAVA 복습] 접근 제어자 (Access Modifier) 와 캡슐화 (0) | 2022.02.10 |
[TIL] 컬렉션 - java.util.Queue<E> 인터페이스 & 구현클래스 (0) | 2020.09.08 |
[TIL] 컬렉션 - java.util.Map<K, V> 인터페이스 & 구현클래스 (0) | 2020.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