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업 언어 : HTML , SGML, XML
마크업 언어 Markup Language
태크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종류이다.
태그는 원래 텍스트오는 별도로 원고의 교정부호와 주석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용도가 점차 확장되어 문서의 구조를 표현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태그 방법의 체계를 마크업 언어라고 한다.
SGM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이란 문서용 마크업 언어를 정의하기 위한 메타 언어이다.
IBM에서 1960년대에 개발한 GML Generalized Markup Language의 후속이며 ISO 표준이다.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은 SGML의 단순화된 부분집합으로 , 다른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기술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XML은 주로 다른 종류의 시스템, 특히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쉽게 주고 받을 수 있게하여 HTML의 한계를 극복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은 웹페이지를 위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이다.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인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객체를 내장하고 대화형 양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타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 Anomaly (0) | 2020.11.04 |
---|---|
현행 시스템 파악 (0) | 2020.10.28 |
OSI 7 계층 참조 모델 (0) | 2020.09.02 |
트랜잭션이란? 특징 & 성질 (0) | 2020.09.01 |
프로토콜 Protocol 이란? (0) | 2020.08.25 |
댓글